|
|
|
|
 |
한오백년 |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곡명 |
한오백년 |
한五百年 |
분류명 |
미분류 |
미분류 |
작사 |
- |
- |
작곡 |
- |
- |
출처정보 |
성경린․장사훈 조선의 민요 (서울:국제음악문화사) |
成慶麟․張師勛 朝鮮의 民謠 (서울:國際音樂文化社) |
연도 |
1949 |
檀紀四二八二年二月十日 |
면수 |
219 |
(219) |
|
|
 |
|
|
한五百年
백사장(白沙場) 모래 밭에
칠성단(七星壇) 뫃고
임 생겨 달라고
비나이다
(후렴)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한 五百年을 사자는데
웬 성화(星火)요
한(恨) 많은 이 세상(世上)
냉정(冷情)한 세상(世上)
동정심(同情心) 없어서
나는 못 살겠네
꽃답든 내 청춘(靑春)
절로 늙어
남은 반생(半生)을
어느 곳에 뜻 붙일가
푸른 하늘에는
종달새나 우지만
아가씨 마음을
뉘라서 알고
산(山) 속에 자규(子規)는
무심(無心)히 울어도
처량한 회포를
말하여 주노나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