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조선 현대가곡의 종목과 그 대의 |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기사제목 |
조선 현대가곡의 종목과 그 대의 |
朝鮮現代歌曲의 種目과 그 大意 |
종 류 |
기사 |
記事 |
필 자 |
+++ |
+++ |
출처정보 |
매일신보 |
每日新報 |
연 도 |
1930-02-23 |
昭和五年二月二十三日 |
면 수 |
5 |
(五) |
|
|
 |
|
|
◇十九日 午後 八時에 放送한 것◇
(二) 放送者 京城放送局
二. 短歌의 重要한 것
A. 瀟湘八景 (支那의 洞定湖를 中心으로 한 八景을 노하는 것)
B. 丈夫恨 (人生으로 鼓舞하는 노)
C. 白鷗歌 (一種敍事詩)
D. 竹杖芒鞋 (一種의 厭世的 人生觀 노)
E. 楚漢歌 (項羽의 最後를 노)
三. 雜歌의 중요한 것
(南道雜歌)
六字이, 花草四巨里, 새타령, 산타령, 報念, 三月三辰 興打令, 嶺南방아타령, 개꼬리타령, 密陽아리랑, 嶺南아리랑
∥西道雜歌∥
愁心歌(平調와 역금) 京山打令寧邊歌, 압뒤山打令, 놀량, 詠天壽, 난봉가, 楊山道, 방아打令, 배따라기, 桃花打令, 메나리, 孔明歌
∥京城雜歌∥
遊山歌, 가세타령, 小春香歌, 赤壁歌, 執杖歌, 매화타령, 난봉가, 山念佛歌, 아리랑(歌詞), 歌詞十二曲이라고 하나 主要한 것은, 春眠曲, 黃鶴詞, 別曲, 白鷗詞, 漁夫詞, 竹枝詞其他, 歌謠로써 界面, 羽樂, 弄, 編과 가튼 區別이 잇서서 有名한 時調와 가튼 것은 이 歌謠로부터 나온 것입니다 그리고 古來로부터 그 作家로써는 유명한 文人墨客 名臣 宰相이 노를 지여서 곳 노를 부른 것입니다
오늘의 푸로그람에 依하여 말슴하면
A. 一. 時調(歌謠에서 나온 가장 高尙한 것으로 叙事, 叙景, 叙情이 다 具備한 것입니다) 二. 黃鶴詞와 三. 行軍樂 卽 길군악은 十二曲中의 것입니다.
B. 一. 遊山歌(京畿雜歌 中의 白眉, 敍景, 敍情詩입니다) 二. 赤壁歌(赤壁戰을 노래하는 것) 三. 孔明歌(西道雜歌 中의 優秀한 것으로 孔明이 壇을 모으고서 바람을 비는 노입니다 四. 배따라기(亦是 西道노래로 배ㅅ사공의 生活을 노래한 것) 五. 아리랑舊調(아리랑노는 幾多의 變調가 잇스나 이것은 極히 느린 拍子인 舊調입니다)
C. 一. 短歌(우에 말한 것과 가티 短編的 敍景敍情의 노이니 種目이 만습니다) 二. 沈淸歌 三. 春香歌(이것은 여러분이 더 仔細히 아실 것이니 省略합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