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최옥화(한성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최옥화(한성권번) |
崔玉花(漢城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14 |
14 |
|
|
|
 |
|
|
崔玉花(二十一才)
原籍 京城府 三角町 八七
現住 京城府 水下町 五六
技藝 玄琴, 楊琴 (特)各種呈才舞, 南西雜歌, (特上)歌, 羽界面, 歌詞, 春鶯舞
是溫柔玉有香인가是嬌羞花解語인가天然面目百媚生이라我仔細定睛看니眞個是玉花也로다性情은沈潜고才思聰敏야呈才也春鶯舞也玄琴楊琴也到處에虛座右相迎이오歌詞也歌曲也一聲聲穿入九霄雲이로다
람뎐일란욕연은, 그옥이참옥이며, 독슈화발자분명은, 그이무가, 그옥은틔나잇고, 그은락화잇되, 졍진방최옥화 졀묘로다, 츈무졍무, 동픙호졉넙노듯, 쳥쳥노가, 류간셩방불다, 거지가단아야, 황잡을슬려고, 인가다졍야, 업던랑졀노나네, 마음이인자야, 물지심젼혀업고, 긔골이결곡야, 곤줄을젼혀몰나, 츈종츈유야젼야에, 쉴업놀음바지, 간곳마다칭찬야, 시종여일당부로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