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함부용(경화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함부용(경화권번) |
함부용咸芙蓉(京和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19 |
19 |
|
|
|
|
|
|
함부용咸芙蓉(二十八才)
原籍 京城府
現住 京城府 水下町 三〇
技藝 詩調, 京,西雜歌
半濁音咸芙蓉, 蛤裏蟹花間蟻, 玉溫面修尤奇, 柳織身短益美, 紅露凝少桃臉, 錄雲侵虧月耳, 片夢惱萬石君, 一笑死千金子, 京西歌短長曲, 三角山浿江水
금릉전당돌아드니, 취엽홍화함부용, 부용은일홈이오, 신분은기이라, 젼무일로, 초년풍상타고나서, 산젼슈젼지력, 이삿마다신물이라, 한눈한팔병신들도, 운슈만통면, 남불잔케잘살것만, 인물로말진미, 이투쳘야, 이목구비살젹눈셥, 졀묘잘기고, 젹은키에희몸, 옥도갓고달도갓고, 말의말시동거지, 남을얼업것만은, 쳥류활뉵칠년에, 리계를작별고, 독립영업잠시잠간, 인가졀이로다, 어화셜운지고, 남교졈은날에, 고인을어서맛나, 셜치향복오리라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