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이농선(경화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이농선(경화권번) |
리롱션李弄伸(京和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5 |
5 |
|
|
|
 |
|
|
리롱션李弄伸(二十四才)
原京 籍畿道 高陽郡 往十里
現住 京城府 貫鐵洞 二三五
技藝 (特)歌曲, 楊琴, 雜歌
歌中仙李弄仙, 羽界面先數汝, 徃十里芹蔥裏, 何老嫗生如許, 爾不曾解風流, 應未肯老砧杵, 恨更多崔雙文, 琴可惱張君瑞, 日將斜逢還別, 春欲暮怨無語, 渾身子萬種情, 只看他巾垂處
진루야밝은달에, 소사이롱션이, 노셰노셰졂어노셰, 역려인우리놀셰, 롱옥이봉을타고, 소사룡을타고, 텬상으로올나간후, 무슨남아잇나, 시즁텬리도, 쥭어지면그만이요, 텬하졀양귀비도, 쥭어지니고만이라, 창일속우리몸이, 안이놀고무엇리, 차져가자차져가자, 경화권반차져가자, 쥬인삼셰쥬인삼셰, 젼영식을쥬인삼셰, 양금치고잡가불너, 뎨일소장가곡으로, 노셰노셰진작노셰, 늙어지면못노느니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