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임도화(경화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임도화(경화권번) |
임도화任桃花(京和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3 |
3 |
|
|
|
 |
|
|
임도화任桃花(十八才)
原籍 京城府 三淸洞
現住 京城府 水標町 三二
技藝 釼舞, 楊琴, 歌曲, (特)京,西雜歌
眼重簾任桃花, 白菜莖凌霜凄, 家住是三淸洞, 桃不言自成蹊, 夜偏長月正白, 春苦短浣紗溪, 芳年其駛流水, 美人肯鎖空閨, 愁眼湥笑眼淺, 琴肩高歌肩低, 提鷰網誤捉鶯, 喚愁心江草齊
도원심쳐차져가니, 무릉츈도화, 홍도화얼골이오, 삼도화도로다, 츄슈갓치맑은눈, 쌍겁풀이잠간지고, 키커셔호리호리, 츈풍셰류방불다, 맑은목쳥한번굴너, 경향잡가장단맛쳐, 원게불을젹에, 철셕간장요동고, 검무양금모든가곡, 치잇다쇼문낫네, 나히지금십팔셰라, 경셩에셔장야, 십뉵셰에몸을더져, 한창식의기일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