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image/common/img_arrow_1.gif) |
박앵무(경화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박앵무(경화권번) |
박무朴鸚鵡(京和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2 |
2 |
|
|
|
![인물](../../image/03_search/history_title_03.gif) |
|
|
박무朴鸚鵡(二十三才)
原籍 京城府 北壯洞
現住 京城府 黃金町 一四六
技藝 歌曲, 楊琴, 男舞, (特)春鶯舞, 京,西,南雜歌
歌中鸚朴鸚鵡, 胡不歸鎖靑樓, 姸樣驕蹴花鷰, 素性冷浴月鷗, 舞翩翩鶯生色, 琴幽湸鶴知音, 春眠起遊山曲 雪嶺高浿江深, 千金軀匕年倡, 孝多愧兒子誠, 三霜淚一座宅, 義不忍主家情
롱산혜죠말잘다, 셜의랑무, 진루야월하직후, 쳥루즁에구지잠겨뭇노라몃련고, 칠년광음되얏구나, 령롱다양금곡죠, 비파셩이의희고, 륙자슈심졔비가, 셜가를화답듯, 쥭지츈면구사, 록운곡을부르듯, 아릿답고춍혜며, 공교롭고긔틀만흠, 미졍평의부가되고, 유우셕의글이되야, 네력사와네모양을, 강그려알리로다, 슯흐도다네죵젹이, 연화중에들어온후, 김졍규와인연깁허, 쥬지의졋더니, 슯흐도다홀노되야, 삼년집상의리잇고, 쥬모졍셰가긍야, 근검져츅돈으로, 일좌가옥긔부니, 네마음이인자토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