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허춘도(대정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허춘도(대정권번) |
허츈許春桃(大正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50 |
50 |
|
|
|
|
|
|
허츈許春桃(十八才)
原籍 平安南道 平壤府
現住 京城府 光化門通 一○五
技藝 詩調, 西道雜歌, 呈才十二種舞
生長平壤, 時年十八, 生得繁華 白梯䒟花, 桃花春水, 玉魚正肥 雪膚雲鬟, 渾身濃凝, 人苦別離 汝姑無心, 悲管哀絃, 觸處高興 須從此時, 極意歡情, 十一就坊 十六入劵, 技能詩調, 曲謠, 十二闋舞, 正是, 不許漁郞來問津, 春山滿鎖桃花水
오필, 손에들고, 츈도그리면 도화인면, 상영홍은, 얼골갓흐며 리화월락, 용々월은, 도갓도다 십일셰에, 기되야, 몃논일다 십뉵셰에, 자리셔, 셔울올나와 정권반, 입참한후, 쥬야불쳘로 시죠잡가, 정츔을, 갓쵸우고 놀음바지, 시작니, 틈이업셔々 밤잠달게, 못잔지가, 슈년간이라 습여셩々, 괴론줄을, 바이모로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