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이도홍(대정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이도홍(대정권번) |
리도홍李桃紅(大正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34 |
34 |
|
|
|
|
|
|
리도홍李桃紅(二十二才)
原籍 京城府 大平通一丁目 二四
現住 仝上
技藝 詩調, 京西雜歌
生長京城, 時年二十二, 遠面如月, 近面乍雲, 身得適中, 性得溫良, 朝雲暮雨, 徙勞香夢, 與其終老於院紗石上, 不若寄身於風絮雨花之天, 廿一就券, 能解妙闋歌謠, 正是, 殘春可奈掩重門, 滿逕桃花紅寂寞
약방시, 상방시, 젼셩시에 기상, 귀일홈, 흠모야셔 쳘모르, 어린마음, 작졍기를 어셔자라, 기되야, 져와갓고져 작년부터, 졍권반, 입참더니 고금시, 팔결를녀, 갓지안으나 운치잇고, 멋잇기, 다시업도다 늣기로, 운잡가, 죠잇셔々 이곳져곳, 손님좌셕, 졔법잘노네 오놀고, 일놀아, 셰월보다 아모나, 인연만나, 실닥그면 요죠숙녀, 군호구, 나못될가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