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만파정식지곡(관)취타 |
|
|
|
|
|
음반 : Victor49805 |
|
트랙번호 : A |
|
확장번호 : - |
|
분류명 : 행악 |
|
곡명 : 만파정식지곡(관)취타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연주 : 조선이왕직아악부 함화진(지휘) |
|
반주 : - |
|
녹음일 : 0000-00-00 |
|
|
|
|
|
|
|
|
해당 내용 없음 |
|
|
|
|
해당 내용 없음 |
|
|
|
|
|
|
|
음반정보 |
|
|
음반번호 |
Victor49805 |
편곡 |
- |
트랙번호 |
A |
연주 |
朝鮮李王職雅樂部 指揮咸和鎭 |
확장번호 |
- |
반주 |
- |
분류명 |
宴禮樂 |
소장번호 |
국악원-211 |
곡명 |
萬波停息之曲 (管)吹打 |
소장자 |
국립국악원 |
작사 |
- |
음원 |
|
작곡 |
- |
|
|
음반번호 |
Victor49805 |
편곡 |
- |
트랙번호 |
A |
연주 |
朝鮮李王職雅樂部 指揮咸和鎭 |
확장번호 |
- |
반주 |
- |
분류명 |
宴禮樂 |
소장번호 |
TAPE No.19-9,10 |
곡명 |
萬波停息之曲 (管)吹打 |
소장자 |
서울음대 |
작사 |
- |
음원 |
|
작곡 |
- |
|
|
|
|
|
|
|
원반정보 |
|
음반번호 |
- |
녹음일 |
- |
트랙번호 |
- |
소장자 |
- |
확장번호 |
- |
소장번호 |
- |
원반 기록사항(곡명) |
- |
음원 |
|
원반 기록사항(연주자) |
- |
|
|
|
|
|
|
|
복각정보 |
|
|
|
|
|
|
복사정보 |
|
|
|
|
|
|
|
|
|
|
|
크게보기 |
|
Victor49805-A 朝鮮雅樂 (管樂)宴禮樂 萬波停息之曲 吹打
朝鮮李王職雅樂部
響觱篥 李炳祐
同 朴聖在
同 李炳星
同 金先得
同 姜命福
大笒 金千龍
同 劉今乭
同 金七福
同 尹月龍
唐笛 明鎬震
同 朴昌均
奚琴 李元根
同 李順龍
同 朴德仁
杖鼓 金壽天
節鼓 黃鐘淳
拍 劉儀錫
指揮 咸和鎭
曲目解說
吹打は萬年停息之目の一節でぁりまして距今六百年前高麗朝に於ける音樂の一つ。宮中の祝賀宴 に際し奏樂するでぁります。
雅樂々器沿革
響觱篥(キヨウヒツリツ) 元名は桃皮觱篥距今二千年前三韓時代に創作。
細觱篥(サイヒツリツ) 距今二千年前三韓時代の創作。響觱篥の細小な樂器。
大笒(タイキン) 距今千二百年前新羅文王の創作。
奚琴(ケイキン) 距今千百年前支那唐時代の創作。距今八百十三年前高麗睿宗九年に支那より傳來。
唐笛(タウチキ) 距今二千年前支那漢武帝の丘仲の創作。距今五百三十六年前高麗恭讓王の時に支那 より傳來。
杖鼓(ジヨウコ) 距今二千年前支那漢武帝にの時代に創作。距今八百十三年前高麗睿宗九年に支那宋より傳來。
節鼓(セツゴ) 距今千三百年前隨の時代に創作。距今四百九十年前李朝世宗の時支那明より傳來。
玄琴(ゲンキン) 距今千五百年前高句麗王山岳の創作。
短簫(タンシヨウ) 距今四千年前支那黃帝軒轅氏の時岐伯の創作。距今九十六年前李朝純祖の時代に支那淸より傳來。
柏(ハク) 距今五百年前支那晋の時宋織の創作。距今八百十三年前高麗睿宗九年支那宋より傳來。
朝鮮雅樂の大要
朝鮮音樂は遠く新羅及高麗の兩朝に於ても盛んでぁりましたが李朝の始祖より第九代成宗大王に至る間に於て此等傳來の俗樂を改作整理し正樂は完成せられて大に其の面目を一新するに至つたものでぁります。就中第四大世宗大王朝に於ては宮中音樂の大改革があって禮樂は完憊されました。此の改革の主腦者は朴堧即ち蘭溪先生(樂聖の尊稱ぁり)でぁります。又成宗大王の朝にぁつては學藝大に憊りは朝鮮に於ける唯一の音樂書たる樂學軌範を編纂し正樂を振興したる等尤も題著なものでぁります。成宗の次燕山君の時より女技盛となり正樂は漸く衰退の兆があって降つて英祖大王の時に至って大に禮樂を獎勵し稍々其の復活を見るに至りましたが正樂は漸次衰退し隆熙元年時に至って女技は全廢せられ現今李王職に於てのみ雅樂の維持に努めておられます。朝鮮雅樂は祭禮樂と宴會樂の二つに分れます。祭禮樂は孔子廟及び宗廟その他の祭禮に演奏せられ、宴會樂は宮中の祝賀宴及び舞蹈に際して演奏せられるものでぁります。樂器は古は六十六種ぁりましたが今日李王家現存のものは五十四種でぁります。此等樂器の樣式は凡て支那古代のものでぁりまして支那に於ては早く減失して現存しない貴重のものでぁります。(昭和三年七月記)
번역
곡목해설
(취타) 취타는 만파정식지곡의 일절이고 지금부터 6백 년 전 고려왕조의 음악 가운데 하나입니다. 궁중의 축하연에 연주되었던 것입니다.
가사의 요지 의역
나무도 바위도 없는 야산에 쫒기는 꿩의 마음과 너른 바다 한 가운데에서 천석 실은 배가 노도 부러지고 닻도 끊어지고 돛대도 떨어지고 갈 길도 잃고 바람은 거칠게 불고 파도는 사납고, 안개는 깊어 혼돈하기만 한 날, 가는 선상(先尙)은 천만리, 사면은 어둡게 저물고 천지는 적막하게 노을이 지는 때, 해적을 만난 뱃머리의 마음과 비겨, 지난 날 님을 잃은 내 마음은 어떠하리.
**日文을 직역한 것임.
『珍本 靑丘永言』:
나모도 돌도 바히 업슨 뫼헤 매게 조친 가토리 안과
大川 바다 한 가온 一千石 시른 에 노도 일코 닷도 일코 뇽춍도 근코 돗대도 것고 치도 지고 부러 물결치고 안 뒤셧거 진 날에 갈 길은 千里 萬里 남고 四面이 거머어득 져믓 天地 寂寞 가치노을 水賊 만난 都沙工의 안과
엇그제 님 여흰 내 안이야 엇다가 을 리오.
아악의 악기 연혁
響觱篥(향필률) 원래 이름은 桃皮觱篥이고, 지금으로부터 2천 년 전 삼한(三韓) 시대에 창작.
細觱篥(세필률) 지금으로부터 2천 년 전 삼한(三韓) 시대에 창작. 響觱篥보다 작은 악기.
大笒(대금) 지금부터 1200년 전 신라 신문왕(新文王)의 창작.
奚琴(해금) 지금부터 천 백 년 전 중국 당(唐)나라 때 창작. 지금으로부터 813년 전 고려 예종(睿宗) 9년 중국으로부터 전래.
唐笛(당적) 지금부터 2천 년 전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구중(丘仲)의 창작. 지금부터 536년 전 고려 공민왕(恭愍王) 9년 중국 송(宋)나라에서 전래.
杖鼓(장고) 지금부터 2천 년 전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창작. 지금으로부터 813년 전 고려 예종(睿宗) 9년 중국으로부터 전래.
節鼓(절고) 지금으로부터 4300년 전 중국 수(隨)나라 시대 창작. 지금부터 490년 전 이조 세종 시대에 전래.
玄琴(현금) 지금으로부터 천오백 년 전 고구려 왕산악(王山岳)의 창작.
短簫(단소) 지금으로부터 4천 년 전 중국 황제 헌원씨(軒轅氏) 때 시기박(時岐伯)의 창작. 지금으로부터 96년 전 이조 순조 시대 중국 청나라로부터 전래.
柏(박) 지금으로부터 5백 년 전 진(晋)나라 때 송직(宋織)의 창작. 오늘날로부터 813년 전 고려 예종(睿宗) 9년 송나라로부터 전래.
조선아악의 대요
조선의 음악은 멀리 신라, 고려 두 왕조에도 성(盛)했습니다만, 조선 태조로부터 제9대 성종대왕에 이르는 사이, 전래의 속악(俗樂)을 개작하고 정리한 정악이 완성되어, 크게 그 면모를 일신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 가운데 제4대 세종대왕 시대에는 궁중음악의 대개혁이 있었고 이때 예악이 완비되었습니다. 이러한 개형의 주도자는 박연(朴堧), 즉 난계(蘭溪) 선생(樂聖의 존칭)입니다. 또한 성종대왕의 시대 학예대(學藝大)의 완비는 조선의 유일한 음악서인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편찬하고 정악을 진흥한 공적이 현저합니다. 성종의 다음인 연산군(燕山君) 시대로부터 여기(女技)가 성하게 되어 정악은 점점 쇠퇴의 징조를 보인 이래 영조대왕의 시대에 이르러 크게 예악을 장려하자 점점 부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하지만 정악은 점차 쇠퇴하여 융희 원년에 이르러 여기(女技)는 모두 폐지되기에 이르렀고 오늘날 이왕직(李王職)에 이르러서 겨우 아악의 유지에 힘을 쓰고 있습니다. 조선의 아악은 제례악과 연회악 두 가지로 나뉩니다. 제례악은 공자묘(孔子廟)와 종묘(宗廟) 그 외 제례에 연주되었고, 연회악은 궁중의 축하연 및 무도회 때에 연주되었던 것입니다. 악기는 옛 것으로는 모두 66종이 있습니다만 오늘날 이왕가에 현존하는 것은 54종입니다. 이 악기의 양식은 모두 중국 고대의 것으로서 중국에서는 일찍 사라져 버리고 현존하지 않는 귀중한 것입니다.(1928년 7월 씀) |
|
|
|
|
|
|
|
|
|
|
|
식별정보 |
|
빅타매월신보-1935-02-(01) |
|
|
|
|
내용 |
|
總目錄
◎雅樂
四九八○五 管樂 宴禮樂 萬波停息之曲(吹打) 李王職雅樂部 指揮咸和鎭 |
|
|
|
|
|
|
|
|
|
|
|
|
|
|
|
식별정보 |
|
이경호K-429 |
|
|
|
|
내용 |
|
Victor49805-A 연예악 만파정식지곡(萬波停息之曲)-취타 조선이왕직아악부 지휘 함화진
|
|
|
|
|
|
|
|
|